시에서 느끼는 쾌락은 리듬이 주는 것이다.
시의 리듬은 율격의 반복성에서 오는 데 성기옥은 반복의 기본단위가 음절이나 음보가 아닌 시의 행임을 강조하였다.
당신의 불꽃 속으로
나의 눈송이가
뛰어듭니다.
당신의 불꽃은
나의 눈송이를
자취도 없이 품어 줍니다.
-김현승 <절대신앙> 전문 -
당/신/의/ 불/꽃/ 속/으/로/ 8개의 음절
당신/의/ 불꽃/ 속/으로 5개의 어휘 *
당신의/ 불꽃/ 속으로 3개의 어절 **
당신의/ 불꽃 속으로 2개의 음보
당신의/ 불꽃/ 속으로 또는 3개의 음보
당신의 불꽃 속으로 1행 ***
나의 눈송이가 2행
뛰어듭니다. 3행 제1연
당신의 불꽃은
나의 눈송이를
자취도 없이 품어 줍니다. 제2연 ; 두 연이 합하여 1개의 완성시를 이룸
시의 리듬을 형성하는 음절, 어휘, 어절, 행과 연 중에서 어휘의 집합인 어절이나 어절의 연합으로 이루어지는 음보는 반복의 단위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시의 리듬이라 하면 운Rhyme과 율Meter을 총칭한다.
운韻은(좁은 의미의 리듬) 다른 소리와의 상관적인 요소로서 고저, 장단, 강약, 반복의 빈도, 양적 특징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다. 율律은 소리가 어떠한 반복의 양식을 취하는가에 따라서 형성되며, 일정한 소리의 바복적 양식이 수량적, 기게적으로 다루어지면서 성립된다.
율이 형식적이며 추상적이라면 운(리듬)은 시에 원용된 결과 실제로 조성된 내면적 현상이다.
자주꽃 핀건 자주감자 (3,2,4 율)
파보나 마나 자주감자 (3,2,4 율)
하얀꽃 핀건 하얀감자 (3,2,4 율)
파보나 마나 하얀감자 (3,2,4 율)
- 권태응 <감자꽃> 전문 -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에는 ㄴ.ㄹ.ㅁ.ㅇ의 유성음이 많다. '모란, 봄을 여윈 설움, 오월 어느 날'로 이어지는 부드러운 소리의 연속은 이 시의 리듬을 물이 흐르듯 유연하게 한다.
산은
구강산
보랏빛 석산
산도화
두어 송이
송이 버는데
봄눈 녹아 흐르는
옥같은
물에
사슴은
암사슴
발을 씻는다.
- 박목월 <산도화 1> 전문 -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이 유성자음의 부드러움을 살려서 시의 음악적 효과를 살렸다고 하면, 위의 박목월의 <산도화 1>은 맑은 소리인 'ㅅ'을 규칙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시를 음송하는 쾌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보랏빛 석산, 산도화, 사슴' 등, 시 전편에 보이던 'ㅅ'은 기승전결起承轉結의 전에 해당되는 제3연에 이르러 돌연 자취를 감추게 하여 변화를 꾀하였으며, 'ㅅ'으로 봄눈이 녹는 소리를 연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래의 소리가 주는 효과를 더 선명하게 하였다.
- 시의 이론과 실제 <이향아> p.70 ~ p.87. 발췌 -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이 날씨를 바꿀수는 없지만, (0) | 2012.01.20 |
---|---|
"엄마, 저와 함께 걸으실래요?" (0) | 2012.01.17 |
이향아 교수의 '詩의 이론과 실제'를 읽으며(1) (0) | 2012.01.06 |
신년 교례회 (0) | 2012.01.03 |
새해인사 (0) | 2012.01.01 |